[테크월드=조명의 기자]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2019년 자살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과 관련해, 이에 따른 대책을 보완해 나감과 동시에 코로나19에 따른 자살위험 증가 우려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9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19년 자살사망자는 1만 3799명으로, 2018년보다 129명 증가(0.9% 증가)했으며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자 수)은 26.9명으로 0.9% 증가(2018년 26.6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3월(△16.1%)과 4월(△10.9%)에는 감소했고 12월(19.7%)과 10월(9.0%)에는 증가했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된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자살사망자 수(잠정치, 8월 공표 기준)는 6278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약 7.4% 내외 감소(약 502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살은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주된 요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다만, 지난해 10월부터 자살 사망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아, 유명 연예인의 자살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항목별 세부자료) 등이 확정되는 대로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반면, 2019년 하반기를 제외하면 올해 상반기까지 다소 감소 추세에 있어, 자살 고위험시기(3~5월) 집중관리 등 자살예방을 위한 노력이 일정 부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소상공인 긴급 피해지원, 고용안정·청년구직 지원, 긴급 생계·돌봄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 정보 등을 홍보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 우울 현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 1월부터 통합심리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관계부처와 함께 심리상담과 휴식·치유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유명인의 자살사망은 고위험군의 자살을 촉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연예계와 협력해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사전적 예방체계를 보완·구축할 계획이다.

중앙자살예방센터에 따르면, 2013년 유명인 자살 이후 2개월간 자살자수가 평균 606.5명 증가했고, 삼성서울병원은 2015년 유명인 자살 사건으로 인한 모방 자살 효과가 하루평균 6.7명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사망자 수가 줄지 않은 데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자살위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각종 긴급 민생·경제 지원과 함께 적극적 심리방역과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